국어교과서는 90년대 까지 국정교과서였던 것으로 안다.
내용을 보면 70년대에도 나온 것들이 계속 나오고 형식의 변화가 있긴 했지만 단색의 한국화가 그려져 고풍스러웠다.
송영방화백의 그림이 특히 인상적이었고 다양한 문학장르가 소개 되었으며 이 내용들은 사회나 과학과 연계되어 고등학교에 가면 수능시험에 자세히 소개 된 경우도 있었고 특히 비문학은 관련지식이 없으면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개인적으로 학원에서 학생들을 처음 가르칠 때 국, 영 , 수, 과, 사 전과목을 학원에서 가르치기 시작했다.
능력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고 구인난이 심한 시골에서 시작을 했던 것이고 당시 지역의 교육조례를 본다면 맞지 않는 것이었지만 시골에서 강사를 구하는 건 쉽지 않고 막상 와서 근무를 하다가도 적은 급여와 생활비 그리고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 발생하는 상황(술과 담배 그리고 오토바이, 폭력등 고등학생들이 하던 일을 저지르는 경우) 이 만만치 않았다.
다행인 건 소개를 해준 친구가 든든한 도움이 되었고 젊은 원장은 동갑내기라 손발이 잘 맞았고 말 안듣고 힘들게 하면 학생을 퇴원시켰고 학생수에 연연하지 않았다. 그리고 지역사회에 인맥을 통해 문제제기를 했었다.
학생들과 캠프를 동해안으로 2박3일로 가기도 했고 간담회도 많았던 것 같다.
당시 1년 반 가량 중학교 전과목을 두루 살핀 경험은 50세 이후 검정고시학원에서 학생을 가르칠 때 큰 도움이 되었고 입시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아는척? 하는 기회를 주었다.
아무튼 90년대 국어교과서는 80년대 내가 공부하던 국어교과서와 내용과 종이의 질이 조금 차이는 났지만 글짜도 적당하고 분야별로 잘 정리된 것 같았다. 국어를 전공하지 않았지만 50이 넘어 고등학교 국어를 가르치게 되는데 이 때 경험이 큰 도움이 된다.
당시 교과서는 지금처럼 인터넷을 통해 구한 것이 아니고 서울의 교보문고에 직접가서 샀고 여기에 없으면 헌책방을 뒤졌는데 생각보다 개정이 자주 있어서 헌책은 큰 의미가 없었다.
지금의 국어책들은 크고 화보가 많아 보기 좋은 부분도 있으나 양이 많고 진도를 나가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본다.
지금은 학원강의를 하고 있지 않아 다시 하라고 하면 많이 떨릴 것 같고 준비를 많이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문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잉크값이 비싼 필기구 (0) | 2025.04.20 |
---|---|
버니어캘리퍼스와 마이크로미터 (0) | 2025.04.12 |
빠이로트 포리 -X 샤프심 (0) | 2025.04.01 |
잉크를 사서 다시 써본다. (0) | 2025.02.20 |
지금은 볼 수 없는 관광지 기념연필 (0)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