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피수와 취락

lkjfdc 2022. 8. 16. 19:58


이번 홍수에서 큰 피해를 본 곳은 주로 배후습지로 옛 어른들은 이런 곳에 마을을 만들지 않았다.

만약에 마을을 만든다면 터돋움집이라고 해서 바닦을 높이고 배수가 양호하도록 했고 가급적이면 자연제방(주로 과수원이나 밭이 있는 곳)에 길게 늘어진 열촌이 조성되거나 제방의 규모에 따라 길이 생기면 노촌이 큰 길 옆에 상업적 기능이 있다면 가촌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서울도 북악산이나 인왕산 같은 산의 경사에 궁궐과 마을을 만들었고 4대문밖에는 청파동 인근이나 신촌의 산 주변 그리고 왕십리등 물을 얻는 것도 생각했지만 물을 피하는 것을 생각했다.


그러함에도 청계천이 범람을 하고 피해가 잇다르자 수표를 만들기도 했다.

서울이 거대 도시가 되면서 한강의 물을 관리 하기 위해 북한강엔 소양강댐 그리고 합류되는 양수리 바로 아래 팔당댐이 만들어지고 남한강엔 충주댐이 만들어 진다.

그리고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영월에 댐을 만들고자 했지만 석회암지역이라는 특성과 수몰지역의 발생에 따른 문제로 취소가 되는데 상류지역의 주민들은 실향민이 되고 재산권행사의 제한을 당한다. 수질관리를 위해 제한 사항이 많고 지역의 산업이 위축되기도 한다.

낙동강이나 금강, 영산강에 비해 서울과 수도권 수변에 많은 인구가 살고 있음에도 수질이나 유역권의 관리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건 그 관리와 시간이 오래되었기 때문이라 본다.

또한 대홍수가 오면 서울과 수도권의 강주변 도시와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수문을 개방하지 않아 물이 빠지지 않고 역류해 수해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보기도 한다.


90년도와 2006년인가 한강유역에 홍수가 있었다.

당시 충주댐의 수문조절과 조정지댐의 수문조절로 인해 수도권의 피해는 적었지만 충주시가지는 홍수피해를 그대로 받았고 2006년도엔가는 단양과 영월등이 역류하는 물로 피해를 본다.


수도권의 지자체에 상류인 강원도와 충북은 이런 대홍수에 대한 문제를 잘 알것이고 다른 지역인 낙동강이나 금강 영산강 섬진강의 단체장들도 서로 연계를 할 것이다.

중앙정부도 위기 때만 대책을 강구하지말고 장기적인 대책과 계획으로 여러 자연재해에 대비해 정권교체와 상관없이 치산치수 사업을 추진했으면 한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민지배의 결과  (0) 2022.09.05
대한제국이 망한 날이다.  (0) 2022.08.29
한강에 있던 대홍수  (0) 2022.08.11
장애를 바라보던 시선  (0) 2022.07.24
6.25전쟁의 다른 명칭  (0) 20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