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을 보는 시각 요즘 반려동물 관련 산업이 발달하고 있고 외로운 인간이나 노약자에게 힘을 주고 아픔을 치유해 주는 것도 있고 또 어떤 사람들에겐 한낮 귀찮은 짐승일 수 있지만 이 동물이 버려져 있거나 싫은 경우에는 혐오하거나 무섭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 동물을 대하는 생각은 제각각.. 사회이야기 2019.03.19
안전한 먹거리 장날인지 어른 한분이 장을 보고 가시는데 상자의 포장이 특이했다. 큰 글씨로 우리 씻은 당근이라고 했지만 생산지는 중국이다. 이런 것이 당근 뿐이랴? 특히 콩같은 것은 중국말고도 미국에서 수입을 하는데 원산지인 북부지방과 만주지역의 것과는 체내에서 소화되는 것이 다.. 사회이야기 2019.03.18
버려지는 음식물 과거엔 하우스나 온실이 덜 발달되어 겨울에 딸기나 수박 참외를 먹기 어려웠다. 70년대 말 서울 다녀오신 어머니가 겨울에 참외를 주셔서 먹었던 적이 있다. 너무 신기했고 자랑을 하고 싶었다. 당시 참외는 백화점이나 큰 시장에 팔던 귀한 것이 었는데 아마 이모가 사주신게 아.. 사회이야기 2019.02.28
어려운 경제... 경제상황이 어려운 건 어제 오늘이 아니다 . 우리나라의 재산증식방법은 주로 부동산이며 남의 돈이나 은행돈을 빌려서라도 부동산을 사며 이런 문화를 정치로 국가가 나서서 해결하는 건 쉽지 않다. 최저임금의 상승보다 무서운게 임대료와 부가세라 본다. 얼마전 라디오를 들.. 사회이야기 2019.02.26
연예인이 된다는 거 연예인은 철저히 준비해도 막상 현실에 이르면 실력도 실력이지만 운과 인맥 그리고 돈 다음으로 팬들과 사이가 좋아야 꾸준히 할 수 있는 직업이다. 청소년시기 누군가는 연예인을 꿈꾸고 자신이 끼가 있다고 생각하며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실력도 발휘하고 동아리도 가입하여 .. 사회이야기 2019.02.25
스마트폰의 폐해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중독은 많은 해악을 만들어 낸다. 나도 스마트폰으로 아침과 출퇴근 시간 밴드에 글을 쓰고 인터넷 검색을 하지만 조금은 다른 문자매체를 가까이 하고 싶고 노래도 가급적 오디오로 듣는다. 학원에 근.. 사회이야기 2019.02.24
예전에는 없었을까? 사람은 경험한 것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고 평가한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예전에도 지금 우리가 흔히 먹고 즐기는 재화가 있었고 조금은 불편할 수 있지만 과거에는 급한 일 있으면 전보를 보냈고 약속장소에서 공중전화를 걸어 상황을 알리기도 했고 기다렸다. 그리고 설마 하겠.. 사회이야기 2019.02.23
유튜브를 그대로 믿고 최근 5.18관련 문제로 논란이 많다. 사람들은 정치이야기 종교이야기 듣기 싫다고 하지만 이런 저런 이야기 빼다 보면 세상일에 무관심 해지고 결국 이런 것이 더 큰 사회적 비용으로 돌아온다. 특히 가짜뉴스에 대한 검증도 없이 이것이 진짜라 생각하고 의심을 하지 않으니 문제.. 사회이야기 2019.02.15
골목의 행상 그저께는 밤 퇴근길에 아내가 동네입구 쯤에 차려진 이동식 튀김차량에서 새우튀김과 게튀김을 사왔다. 새우튀김은 많이 봐왔으나 작은게를 튀긴건 처음보았다. 가끔 장작구이 통닭도 순대도 팔러 오는 상인들이 있으나 잘 팔리지 않는다. 빈점포도 많고 되는 곳은 된다고 하지.. 사회이야기 2019.02.11
명절대목과 영화개봉 과거에는 명절 대목이라는 것이 있었다. 이미용업소부터 청과물 시장 그리고 옷가게 까지 그리고 영화관의 경우는 붐볐다. 특히 영화관의 경우는 많은 관객을 기대하며 큰 제작비를 투여하여 개봉을 하지만 그리 만만치 않다. 작년에도 여러편의 영화가 서로 경쟁하다 결국은 몇.. 사회이야기 2019.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