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을 주자가 들어가는 평야나 분지의 주민들 사이에는 일제 강점기가 되기전 철도건설을 놓고 지방의 양반들이 반대가 극심해 정부와 일본이 철도건설을 피하고 다른 곳에서 시행했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공주 사람들도 그랬다고 하고 전주사람들도 그랬다고 하며 충주사람들 또한 반대했다고 하며 충북선이 지나가는 증평 인근의 청안양반들이 반대해 철도가 동네에 들어오지 못했다고 술자리에서 '반대투쟁설'을 전개한다.
나라를 외세에 빼앗기고 물질문명이 침투하니 그럴 것이다. 라는 추측도 해보지만 애초에 이런 교통시설을 만들 땐 공사기간과 공사비 그리고 난이도를 보고 치밀하게 고려하고 했을 것이며 누구의 반대와 찬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겠지만 오늘날 처럼 시위나 조직적 반대는 불가능했다고 본다.
일본의 목적은 중국 뿐 아니라 대륙을 자신의 것으로 하는 것이고 조선을 그 전초기지로 삼기 위해 준비하 왕의 친인척 부터 고위공직자까지 구워 삶은 마당에 지방의 토호나 양반들 ( 갑오개혁 이후 신분제도가 철폐됨)을 무서워 하거나 두려워 하지 않았다고 본다.
오히려 농민들이나 해산된 군인 소수의 반골기질을 가진 사람들이 반대를 하자 잡아서 사형을 시키고 본보기를 보였다.
양반은 지금으로 말하면 고위공직자이며 이들에겐 백성을 살피고 소박하고 검소할 것을 강조했지만 변질이 되며 이들과 왕실이 썩어 외침을 당하면서도 큰 저항이 없었고 일부 양반과 학자들이 위정척사사상을 기치로 일어나며 여기에 영향을 받은 상민들이 힘이 되지만 결국 추구하는 길이 달라 분열되며 나라가 사라진 이후에도 해방된 나라의 모습을 두고 서로 갈등한다.
이런 분열을 보고 일부 지도자들은 경계하고 단합을 외치지만 그 부작용은 해방 이후 더 심화된다.
양반의 명예는 떵떵거리고 뼈대있고 순혈주의적인 모습에서 지켜지는 것이 아니라 정명론에 입각한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자신의 사리사욕을 과도하게 챙기는 자들이 공직자로서 각종 이권에 개입하는 건 옳지 못하다.
다른 건 몰라도 자신의 사리사욕이 먼저라면 법적인 테두리에서 장사를 하거나 개인사업을 하는 것이 설득력 있다.
공직에 있으면서 공과 사를 구분 못하고 또한 공직에서 물러나 과도한 예우와 특권을 갖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요즘 성남 대장동 사건을 보면 공사 구분을 못한 공직자들의 모습이 보이고 과거 나라가 망할 때 보여준 양반들과 지역토호들의 모습이 느껴진다.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과 일본의 상품 (0) | 2021.12.01 |
---|---|
재일 한국인 역도산 (0) | 2021.11.16 |
바른생활 책에 나오는 '이인호소령' (0) | 2021.10.10 |
70년대의 승공관 (0) | 2021.09.28 |
70년대 바른생활 교과서 (0) | 2021.09.25 |